 |
특수법인 국기원이 재단법인 국기원에게 28일 보낸 '인수인계' 공문 |
특수법인 국기원(이사장 김주훈)이 28일부로 등기가 완료됨과 동시에 재단법인 국기원(원장 이승완)에 ‘특수법인 국기원 설립에 따른 업무 인수인계 협조’ 공문을 발송했다.
(특)국기원은 (재)국기원에게 △2010년 3월 17일부로 개정된 ‘태권도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28일 국기원 특수법인 등기 완료됨 △등기일 부로 (재)국기원은 해산되고 특수법인 국기원이 (재)국기원의 모든 의무 권리와 재산관계를 승계함 △(재)국기원은 예산집행 등의 일체의 사업이 불가하므로 사업진행을 중단하고 만약 이를 위반하고 사업을 진행할 경우 담당자 및 책임자는 민.형사상 책임이 따를 수 있음 △인수인계가 원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협조를 바람 등의 사안을 요청한 상태로 사실상 ‘상근직 이사는 국기원에서 나가달라’고 통보했다.
이에 (재)국기원은 31일 국기원 제2강의실에서 ‘(재)국기원 향후 방안을 위한 이사 간담회’를 열고 후속대책을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총 19명의 이사 중 이승완 원장, 송봉섭 부원장, 박현섭 연수원 부원장, 김철오 총무이사, 안종웅 이사, 조영기 이사, 배영상 이사 등 7명이 참석한 이날 간담회는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약 1시간여 동안 이사들은 개인 의견을 교환하고 대책을 강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인사들은 간담회 직후 (특)국기원의 공문 내용을 예로 들며, “형식과 절차에 어긋 나는 문서다”, “말이 협조지 그냥 인수인계도 필요 없이 우리만 나가면 된다는 것 아니냐?”, “태권도인들로서 여러 단체의 실무를 접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인데 어떻게 이러한 공문을 보낼 수 있느냐? 그저 자리만을 뺏고 싶은 것이지 단(품)증 발급, 연수원 교육 등의 운영을 하지말라고 하는 것은 태권도인들의 피해를 더욱 확대시키는 결과다. 기본 적인 업무는 진행 되도록 해야하는 것인 기본적인 예의가 아닌가?”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해 (특)국기원의 공문 등을 담당하고 있는 국민체육진흥공단측은 “국기원 직원이 아니기에 어떤 말도 해줄 수 없다”며 “아직 집행부를 선임하지 않아서 인수위원 등을 정한 상태는 아니지만 빠른시일내로 이사장이 집행부를 꾸려 인수인계를 하지 않겠는가?”고 전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사업 중단 요청’에 대해 “기본업무인 단(품)증 발급과 지도자 연수업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사업인데 이것도 사업 중단에 포함되는냐?”는 질문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업무와 관련해 예산이 집행된다면 함께 포함되는 것이다. 이사장이 태권도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빠른 시일내로 인수인계를 마무리 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
31일 열린 재단법인 국기원 이사 간담회에는 총 7명의 이사들이 참석했다. |
이번 (특)국기원의 공문 내용만을 가지고 논한다면 태권도인들을 생각하고 있다는 점은 전혀 찾아볼 수 없어 안타까움을 남긴다. 인수인계를 원한다면 공문이나 보도자료 등을 통해 일선 지도자들이 알 수 있도록 언제 (재)국기원의 업무가 종료되는지와 이와 관련해 일선 지도자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공고 등의 방법으로 피해를 최소화 했어야 한다. 또한 인수위원회는 어떻게 구축이 됐으며 어떠한 사안에 대해서 인수인계를 하고 언제까지 인수인계를 마쳐 언제쯤 정상적으로 국기원 기본 업무를 재집행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공지했어야한다. 이번 (특)국기원의 공문에는 이러한 점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들이 현집행부의 도덕성을 논하고 이들을 비판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해야할 것은 바로 자신들은 어떻게 국기원을 운영할 것이고 어떻게 바꿀 것인지를 만방에 알리는 것이었다.
(특)국기원과 (재)국기원의 이사만을 바꾸려고 태권도인들이 목 놓아 ‘개혁’을 울부짓은 것은 아니었다. 올바른 운영, 투명하고 깨끗한 인사, 재무 등 세계태권도본산으로 어디에서나 존경받는 성지가 되고 일선지도자들과 민중들 또한 국기원을 우러러볼 수 있게 하려고 태권도인들이 ‘개혁’을 성토한 것이다.
태권도 개혁을 천명하며 자신있게 국기원 정상화를 외친 문화체육관광부의 목적은 무엇인가? 기득권을 잃은 사람들 편을 들어 현 체제를 굴복시키고 새로운 체제에서 자신들의 정치적 야심을 이루기 위한 행동이었는가? 아니면 진정한 태권도의 개혁을 위한 행동이었는가? 과연 이들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태권도인들은 현재 “이들의 목적이 퇴색됐다”고 목놓아 울부짖고 있다.
<최진우 기자, tkdtimes@paran.com, 02)424-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