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는 8월 9일 이사회를 열고 지방 원정 심사를 집행하기로 결정했다. |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회장 임윤택)과 ‘전국 16개 시.도태권도협회 전무이사협의회(회장 오승철)’의 심사전쟁이 1라운드에 돌입했다.
지난 7월 전무협은 13개 시.도협회(서울, 경기, 충남 제외) 전무이사들이 모인가운데 국기원 대관신청을 통해 서울에서 원정심사 집행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서울시측은 전무협의 결정에 크게 반발하며 자신들도 이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지방 지역 원정심사를 집행할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서울시협회는 8월 9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소재 식당에서 이사회를 열고 지난 7월 전무협의 결정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는 한편 후반기 원정 심사를 강행할 것을 의결했다.
이날 서울시 장용갑 부회장은 “전무협의 서울 원정 심사 결정은 명백한 도전 행위”라면서 “이에 따라 서울시협회 역시 지방 지역에서 심사 집행을 강행해야 한다”고 밝혔고 이에 참석 이사들은 만장일치로 후반기 지방 원정 심사 1순위로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심사를 집행할 것을 동의했다.
이사회 직후 서울시협회는 “1순위 원정 심사 지역인 경남 지역 체육관장들을 대상으로 서신 및 공문을 보내 심사를 접수 받는다”고 설명했으며 국기원, 대한태권도협회 등에도 이날 이사회에서 의결한 사안을 공문으로 보내 후반기 원정 심사 강행을 통보할 것임을 시사했다.
서울시협회 한 실무자는 “타 지역 심사인원이 서울로 접수를 하는 것은 해당 지역에서 감정적인 이유로 이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로 응시생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심사를 집행하고, 또 국기원 심사 자격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심사위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시 체육관장들 뿐만 아니라 타 지역 관장들도 스스로 서울에서 응시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라고 외부 심사인원의 접수에 대한 견해를 들어냈다.
서울시협회는 이번 원정 심사 집행에 대해 ‘심사 자율화 및 심사 민주화’라는 명분을 들면서 “전무협의 국기원 대관신청 및 원정심사 결정은 1~2개 지역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낸 것이지 전부의 생각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1순위로 경남지역을 지목한 것이다. 해당 지역 체육관에 후반기 심사계획서를 보내 접수를 받고 이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공정성과 객관성을 필두로 심사를 집행할 것이다”고 입장을 전했다.
서울시협회는 원정 심사 시 합격률을 100%로 보장하고 불참한 응시생들에게는 재심사의 기회를 제공할 것과 국기원 심사위원 자격이 있는 관장들은 자신들이 원하면 누구나 채점위원으로 참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서울시협회의 원정 심사가 사실상 확정되면서 1순위로 지목된 경남지역과의 마찰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는 심사 수익금 중 국기원, 대한태권도협회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제외하고 재정이 열악한 일부 시.도협회에 재정후원을 하고 있으며, 산하 25개 구협회에는 각 구당 연 5,000만원의 행정지원금과 연 1,000만원의 구협회장 업무추진비 등을 지급하고 있는 상태다. 또 각 구에서 매년 개최되는 협회장기 대회에는 500만원씩 대회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서울시협회의 이 같은 지원에 대해 한 구협회 인사는 “투명한 행정과 균등한 수익분배로 서울시협회가 수련생 및 회원들을 위해 환원하는 금액이 상당한 수준”이라며 “행정 운영에 있어 협회가 아닌 회원들을 위해 권익 및 복지를 향상하려고 노력하는 협회의 방침이 확고해 다른 사람들도 서울에서 심사를 보려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태권도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