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목적법인 국기원(이사장 김주훈, 원장 강원식)이 일부 임직원의 모럴헤저드(moral hazard, 도덕적 헤이)로 인해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A팀장과 B과장이 연차를 사용해 11월 2일부터 5일까지 인도네시아 YUTI(Yayasan universal taekwondo indonesia, 회장 리오 남경)이 주최.주관한 태권도대회에 비공식적으로 참석한 것을 두고 ‘국제접대’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것.
현재 인도네시아의 심사권은 인도네시아태권도협회와 YUTI가 양분화 하고 있다. 화교인 남경 회장의 경우 막강한 재력을 이용해 인도네시아내 태권도 세력을 늘려나가고 있고, 기존 인도네시아협회의 경우 원주민을 중심으로 협회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상태.
물론 세계태권도연맹(WTF)의 가맹단체는 인도네시아태권도협회다. 하지만 국기원의 경우 태권도 공인단 보급 확대 등을 명분으로 들어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일부 국가에 대해 국가협회와 사설단체에 양분화해 심사권을 위임하고 있는 상태다.
전문언론들의 잇따른 보도에 국기원은 해당자를 불러 사실 확인을 마쳤다. 이들이 국기원에 12일 제출한 자술서에는 "YUTI의 주최대회에 간 것이 사실이며, 개회식에 참석하고 시상식에서 시상을 했다“는 취지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주최측으로부터 숙박 및 식사 등은 제공받았지만 항공비의 경우 자비를 들여서 간 것“이라는 내용도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태.
일반인들이라면 “연차를 사용해 해외 대회에 간 것이 큰 문제가 될까?”라는 의구심을 갖을 수도 있겠지만 국기원을 비롯한 태권도 유관단체의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과거 국기원은 일부 임직원들이 태권도 한마당과 같은 대규모 행사에 해외 태권도인들을 초청하면서 행사 예산으로 이들에 대한 항공권, 숙식 등을 제공하고 자신들의 휴가시 해당 국가에서 유람을 즐기면서 이들에게 항공, 숙식을 비롯한 접대를 받아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특히 해외 국가들과 업무상 밀접한 연관이 있는 국제, 연수 업무 임직원들이 해외 출장시 또는 휴가시 업무상 이점을 이용해 이들에게 접대를 받고 있다는 의혹까지 겹치면서 국기원 임직원에 대한 도덕적 헤이가 심각한 문제임이 대두된 바 있다.
이번 국기원 A팀장과 B과장의 YUTI 행사 비공식 행사 참석과 관련해 논란이 커지자 태권도계는 “시기가 적절치 않았다”는 반응이다.
현재 국기원 고위 임원들이 검찰에 공금 횡령 및 배임 등으로 고발이 되어 있고, 또 올해 초 인사파동으로 인해 일부 인사들이 해고당하고 이에 대한 소송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눈에 띄는 행동은 자재했어야 한다는 것.
특히 내년 5월 대다수의 이사들이 임기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국기원의 기득권을 두고 이사들간의 대립과 일부 직원들간의 줄서기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이번 논란은 관련자들이 명분을 제공한 꼴이라는 것이다.
국기원은 현재 이들의 자술서를 토대로 숙식 이외에 어떠한 접대도 받지 않은 것이 사실인지와 이들이 심사 및 국제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상태에서 YUTI측에 특혜를 준 것이 아닌지 등에 대한 추가 조사를 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B과장은 “다른 사람들에게 감정 생기도록 행동한 적이 없는데 이렇게 언론 등에서 마치 우리가 접대를 받은 것처럼 몰아가고 있어 억울한 것이 사실”이라며 “국기원의 업무상 해외에 공식일정으로 방문할 길이 없어 이 같이 연차를 사용해 방문한 것이다. YUTI는 국기원 승단 심사 등과 관련해 상당히 중요한 단체이기에 이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비공식으로 방문한 것이다. 비행기 티켓은 A팀장과 나 모두 자비로 결제했으며, 숙식의 경우 그쪽에서 대회를 치르기 위해 많은 객실수를 보유하고 있어 사용한 것 뿐이다”고 일각에서 제기된 접대 의혹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번 국기원의 해외 접대 논란은 부당 이 직원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기원 시범단 단장으로 해외 시범에 나서는 국기원 이사들을 비롯해, 업무로 인해 해외 출장을 다니는 원장, 부원장, 연수원장 등의 상근임원, 또 국기원 모든 직원들이 개인을 떠나 세계태권도본부 국기원의 임직원으로서 오해받을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는 인식이 필요한 시기다.
옛 속담에 ‘오얏나무 밑에서 갓끈을 매지 마라’라는 말이 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국기원이 임직원들의 모럴헤저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최진우 기자, cooljinwoo0@naver.com, 02)424-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