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기원이 2014 세계태권도한마당과 관련해 불거진 용역업체 비리 의혹에 대해 엄중처벌 의지를 들어냈다. |
특수목적법인 국기원(이사장 홍문종, 원장 정만순)이 지난 8월 21일부터 24일까지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열린 ‘2014 세계태권도한마당’과 관련해 고위직원 이 모씨가 자신과 개인적 친분이 있는 특정업체를 선정시키기 위해 용역업체 선정과정에 개입했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김현성)를 구성, 사실확인에 들어갔다.
2014 세계태권도한마당 조직위원회(위원장 김일문)는 지난 7월 24일 포항시청에서 진행된 용역업체 입찰제안서 평가와 관련해 평가위원의 점수표가 조작된 사실을 확인하고 내부적인 조사에 들어간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조직위원회 실무를 책임지고 있던 국기원 직원 이 모씨가 특정업체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 용역업체 평가위원 위촉과 심사위원 점수표 조작에 가담한 정황을 포착했다.
당시 조직위는 국기원에 공문을 발송해 불법적인 행위를 한 이 모씨에 대한 인사조치와 법적책임을 물을 것을 요청했고, 이에 국기원은 한마당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이 모씨를 조직위 실무책임자 직위에서 해촉하는 선에서 이 사건을 마무리하고 이 씨에 대한 인사문제 및 법적책임 등은 대회 이후 진행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한마당이 끝나고 이 씨에 대한 인사조치 및 법적책임 등이 진행되지 않자 조직위는 8월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씨에 대한 비리의혹을 공개했고, 7월 말부터 현재까지 조직위와 국기원간 주고받은 공문을 비롯해 이 씨의 비위 증거 등을 토대로 국기원에서 이 씨를 비롯한 관련자들을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기원은 조직위에서 직원 이 씨의 비위를 공개하자 9월 1일자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직위에서 파악한 이 씨의 비위에 대한 사실확인에 들어갔으며, 현재 이 씨는 업체선정과정에 특정업체에게 특혜를 주기위해 자신이 선임한 평가위원들과 짜고 점수를 높게 준 것과 심사위원들의 채점표를 조작한 것에 대해 시인 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위는 이번 업체선정 비리가 올해 한마당에만 국한됐다고 판단하지 않고 이 씨가 특혜를 주려던 S업체가 최근 몇 년간 한마당 행사 대행업체로 활동한 것과 관련해 이 씨의 또 다른 특혜가 없었는지 파악하고 있다. 또 이 씨가 해당 업체에 특혜를 준 조건으로 금품 등을 수수하지 않았는지도 조사 중에 있으며, 일부 직원이 이 씨의 비위에 가담 또는 묵인한 정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조사 대상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위의 입장은 현재 ‘엄중처벌’, ‘일벌백계’로 전해졌다. 위법행위가 판단되면 즉각 검찰에 고발한다는 의미다.
태권도계는 국기원 조사위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내부징계가 아닌 검찰 고발까지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조사위의 이번 결정이 태권도계 비리 척결에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눈치다.
태권도계는 그동안 숱한 비리의혹에 휩싸여왔다. 하지만 비위 사실이 적발되어도 경징계로 끝내고, 자체적으로 덮고 넘어가는 등의 모습을 보여와 ‘비리 불감증’, ‘제 식구 감싸기’, ‘눈 가리고 아웅’ 등의 비판을 들어왔다. 하지만 이번 비리 의혹에 국기원은 초반 늑장대처라는 비난을 들었지만 내부적으로 자체징계뿐만 아니라 검찰 고발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비리 행위가 국기원내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고 있다.
현재 국기원은 비리 해당자인 이 모씨 뿐만 아니라 전 부서를 대상으로 실무 직원들이 업체와의 유착 또는 특혜가 있었는지까지 확대 조사할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상태다.
국기원이 ‘개혁’이란 이름으로 역사상 처음 든 칼이 과연 국기원내 뼛속까지 파고든 악성 바이러스인 비리 불감증을 얼마나 걷어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최진우 기자, cooljinwoo0@naver.com>